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알고리즘
- 커스텀상태
- 코틀린
- 코루틴
- 스레드
- g 단위테스트
- 책
- theming
- Coroutine
- mockito
- 안드로이드
- 병럴프로그래밍
- 병렬프로그래밍
- Compose
- 글또
- android
- 안드로이드강좌
- 자바
- k8s
- 회고
- Rxjava
- kotlin강좌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Kotlin
- 디자인패턴
- viewmodel
- ReactiveProgramming
- 알게되는
- Gradle
- 테스트
- Today
- Total
목록android (7)
선생님, 개발을 잘하고 싶어요.

문제 상황 애플리케이션에서 화면 전환은 엄청 중요하죠. 이렇게 중요한 화면 전환, 좀 더 이쁘고 의도에 맞게 하는 방법 없을까요?🤔 애니메이션과 BaseActivity 구현체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구현해 봅시다. overridePendingTransition 간단히 이 함수 하나만 있으면 화면 전환간 애니메이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overridePendingTransition(R.anim.none, R.anim.horizon_exit) 이 함수는 두개의 애니메이션 리소스를 함수 인자를 받는데요. 첫 번째 인자는, 새로 나타나는 화면이 취해야 하는 애니메이션 두 번째 인자는, 지금 화면이 취하는 애니메이션입니다. 위의 함수 콜은, 새로 나타는 화면은 가만히, 지금 화면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서론 요즘 한창, 습관 기록 애플리케이션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서버가 없는 앱을 개발해야 했는데요. 그래서 데이터 관리를 위해 Room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Room개발에 까탈스러운 점은, Database 생성에 context가 필요하다는 건데요. 그래서 적절히 개발 됬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Activity에 Room 코드를 작성한다. 앱을 런치해서 해당 Activity로 이동한다. 로그를 확인하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이런 절차로 진행했습니다만 🤔 귀찮아졌습니다. 대상 Room을 처음 써보시는 분 Room을 써보긴 했지만 리팩터링에 고민이 있으신 분 AndroidTest라는 녀석을 보긴 했지만 평생 써본 적 없으신 분 이 글은 매우 Room초심자의 입장입니다만...

도입 필자는 요즘 Flutter를 공부하고 있는데 이 녀석, 선언적 UI, 멀티 플랫폼 빌드 지원, 구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한 성장이라는 요소들이 매우 매력적이다. 또한 Flutter 프레임워크와 이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Dart라는 언어는 공식문서가 어마어마하게 잘되어있더라. 그래서 혼자 공부할 맛이 나는 요즘이다. 그건 그렇고, 결국 프론트엔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보니 어쩌면 제일 중요한, 리스트를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명확하게 이해하는 게 필요하다. 그래서 정리해보았다. (내가 애니메이션 공부하다가 리스트 그리는 법을 몰라서 작성하는 포스트 이다.) 읽을 대상 Dart 클래스 생성에 대해서 알아야 함. StatelessWidget에 대해서 알아야 함. Flutter에 흥미가 있어야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