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테스트
- android
- ReactiveProgramming
- viewmodel
- 디자인패턴
- 병렬프로그래밍
- Kotlin
- k8s
- g 단위테스트
- 알게되는
- Gradle
- 스레드
- theming
- 안드로이드강좌
- 알고리즘
- 코루틴
- 안드로이드
- 자바
- mockito
- 책
- 커스텀상태
- Compose
- 코틀린
- 병럴프로그래밍
- Rxjava
- Coroutine
- 회고
- kotlin강좌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글또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mock (1)
선생님, 개발을 잘하고 싶어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zPZT/btqEn8FyZQ3/CkZwNPZk3J2QCeKOsDjaN1/img.jpg)
도입 TDD, 테스트 주도 개발 방법론은 저에게 있어서 하나의 넘어야 할 산처럼 느껴졌습니다. 다양한 컨퍼런스에서 들려오는 테스트 코드의 장점, 각종 회사에서 우대 사항으로 내거는 "유닛/통합 테스트 코드 작성 경험" 레거시 코드를 다룰 때마다 나를 반기는 무수한 사이드 이펙트들 시중에 많은 테스트 관련 책들이 있고, 훌륭한 책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 개념을 프로젝트에 녹이기 쉽지 않더군요. 그래서 다양한 개인 프로젝트에 테스트 코드를 적용해 보고 느낀 점, 회사에 부분적으로 적용하며 고민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테스트 책에서 읽은 내용들이 어떻게 MVVM 구조에 녹일 수 있을까 고민하신 분들에게 공감되는 이야기, 실용적인 이야기라면 좋겠네요 😋 다룰 것 안드로이드 테스트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특..
개발/android 개발
2020. 5. 24. 2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