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Kotlin
- 글또
- Gradle
- 병렬프로그래밍
- Compose
- 안드로이드
- android
- viewmodel
- Rxjava
- 알게되는
- 디자인패턴
- 회고
- 커스텀상태
- 코틀린
- 자바
- mockito
- 스레드
- k8s
- 안드로이드강좌
- g 단위테스트
- 알고리즘
- 코루틴
- 병럴프로그래밍
- theming
- 테스트
- ReactiveProgramming
- 책
- Coroutine
- kotlin강좌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4)
선생님, 개발을 잘하고 싶어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W0MU/btrB8RZLWK6/C6yEBQOxZuwxTl5RlVQoUK/img.jpg)
도입 우리는 어떤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 배울 때, 왜 이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러려면 우선 이 기술이 해결한다고 주장하는 문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주장하는 문제에 공감할 수 있는가가 배움의 동기가 된다.) 문제에 공감했으면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이 제안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풍부한 실제 사례를 들어서 비교 분석해야 한다, 이때 실제로 문제를 겪은 경험이 있다면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서 다른 방법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아야 한다. 추상화 이름으로 User를 찾고 그 User의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생각하자. main 함수는 이름에 해당하는 User를 찾기 위해서 파일 시스템을 조회해야 한다는 걸 알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yhKZ/btrB7cCAYOh/4WroVhhY0Brma0G1A4s4i0/img.jpg)
도입 다시 보는 건전화폐의 중요성 시간을 뛰어넘어 가치를 지킨다. 안정된 단위로 측정하고 교역하도록 촉진한다. 시장이 정부의 강압을 벗어나 계속 성장해 나가도록 한다. 개인이 폭정과 억압에서 자유롭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시간선호: 나중에 얻을 가치에 비해서 현재 얻는 가치를 선호하는 비율 높을 수록 저축하기 보다는 소비를 하겠지? 정상적인 경우라면 0 이상이겠지? 투자는 만족을 늦추기 + 실패할 위험도 감수하기 시간선호가 낮을 수록 생산성 증가를 위해서 행동할 수 있다. 생산성 증가를 통해 미래에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 개인의 시간선호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 ⇒ 개인 안전 + 재산 보장 안전하고 충분한 재산이 있어야 사람은 시간선호를 낮게 유지하며 생산성 증가를 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1SxV/btrB6uKBjvO/zd94QDX4fwFSwJKEeKYAMk/img.jpg)
현실에서 서계 통화 환경을 결정하는 주체는 개인이 아니라 정부의 법령과 판단 & 통화 정책임 화폐 민족주의와 자유 세계의 종말 전쟁 동안 화폐를 미친듯이 공급하며 금 보유량 대비 가치가 폭락해야한다. (금 기준으로 조정했어야 했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화폐 가치가 폭락하고 정권 지지율이 낮아질 게 불보듯 뻔한 상황 전간기 건전화폐라는 기반 위에서 경제가 회복했을 것이다? 무슨 확신으로 이렇게 강하게 말 할 수 있는거지? 지금 경제는 문제가 있다는 것일까...? 대공황을 금본위제 탓으로 돌리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한 이후에야 회복했다는 말은 헛소리다. 대공황의 원인은 1차 세계대전 이후 금본위제 이탈& 정부 통제와 경제 사회화 강화 때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과 브레턴우즈 브레턴우즈 회의 - IMP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CcPY/btrB67nRMgy/7Qqmzt0k406JNl5qQxzcbk/img.jpg)
금속화폐 시장 수요와 화폐성 수요의 구분 시장 수요는 사람들의 필요에 의해서 생기는 수요 화폐성 수요는 가치저장의 수단을 위한 수요 만약 구리를 가치저장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구매한다고 생각하면... 시장 수요 + 화폐성 수요 = 수요 폭발로 생산자에게 생산 동기를 마련한다. 구리는 생산하기 쉬우므로 많이 공급된다. 공급이 넘치게되어 구리의 가격은 폭락하게 되고 가치저장하려 했던 부는 타격을 입는다. 따라서 가치저장 기능을 잘 수행하려면 수요가 늘면 가격이 올라야한다. 생산자가 가격을 떨어트릴 정도로 공급을 할 수 없어야한다. 금은 저량은 많은데 공급을 늘리기가 쉽지않다. 아무리 금의 수요가 높아진다고 해도 미미하다. 수요가 몰려도 거품이 생기기 어려운 구조다. 화폐는 가치를 위한 거래수단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