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알게되는
- 커스텀상태
- 글또
- 자바
- 스레드
- Compose
- 코틀린
- Coroutine
- k8s
- android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kotlin강좌
- g 단위테스트
- Kotlin
- viewmodel
- 테스트
- 병럴프로그래밍
- 안드로이드강좌
- 코루틴
- 회고
- 디자인패턴
- 안드로이드
- 병렬프로그래밍
- theming
- ReactiveProgramming
- mockito
- Rxjava
- 책
- Gradle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4)
선생님, 개발을 잘하고 싶어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pHg7v/btqCFx2GNd5/SVYycnUnhhZ6ziomr9tQIK/img.png)
서론 RxJava, 정말 정말 안드로이드 공부를 하거나 콘퍼런스를 볼 때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로 많이 듣던 기술입니다. 그리고 익히는 것도 엄청나게 고생한 것 같습니다. (아직도 한참 멀었지만🙇♂️) 공식 문서, 콘퍼런스, 블로그 포스팅, 책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공부를 시도했고 작은 프로젝트에 써볼 수 있는 상황에 억지로 쓰면서 익혔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RxJava가 가진 장점을 (부분적으로)이해하였고 실제 프로젝트에 열심히 적용하고 있습니다. ReactiveX는 공식 문서 가이드가 Document 이상이 아닙니다. 라이브러리 공식 문서에 으레 있는 "실습으로 배우기"와 같은 내용이 아니에요. 실무 가이드가 아닙니다. Reactive의 개념이 무엇이고 어떤 연산자가 존재하는지 이론적으로 도형으로 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f7Q2/btqCAPgle5w/8MDNLjHj94VQ9KKLDLGkoK/img.png)
도입 사실 화면 하나의 라이프 사이클은 어려울 것이 없다. 하지만 화면 두개 이상이 결합된 라이프 사이클은 조금 햇갈리는 경우가 많다. A화면에서 B화면으로 이동 할 땐 어떤 일이 일어나지? 뒤로가기를 누르면 어떤 일이 일어나지? A 액티비티와 A 프래그먼트의 관계가 어떻지? 그래서 그냥 한 번에 쭉 로그 찍어서 정리해 놓고 나중에 참조해보자. (그냥 실험 기록장 같은 거라 별 내용은 없다.)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라이프 사이클 Activity 수명 주기에 대한 이해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An Activity is an application component that provides a screen with which users can interact in ord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YvXO/btqCjebhXpu/QlYstTcVqbKPVy9cMJAO91/img.png)
도입 "소소하게 블로그 포스팅하기"가 일종의 과업이 되는 요즘, 친구들과 일주일에 한 번씩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하지 못하면 벌금을 내는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목적은 철저하게 "블로그 포스팅 개수 채우기"에 귀결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체계적인 시스템의 부재와 스터디 규칙의 모호함이 그 이유일 것이다. 그 와중에 지인의 페이스북 태그를 통해 글또라는 모임을 알게 되었는데 찾아보니 이번에 4기 모집이고 정교한 룰이 있는 기술 블로그 포스팅 모임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 중에도 가장 마음에 든 규칙은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읽고 리뷰를 남겨야 한다 는 규칙인데, 기존에 하던 블로그 스터디에서 아쉬웠던 부분을 긁어주는 규칙이란 생각이 들어서다. 기존 스터디는 자신의 블로깅에만 초점을 맞췄다면 이 규칙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q9N9/btqB9YUahYv/FKoNWj8LgMyKcpROKgMZW0/img.png)
도입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의존성 주입(Dpendency Injection, 줄여서 DI) 프레임워크의 사용은 필수 불가결하다. 내가 사이드 프로젝트로 사용하던 Koin 도 매우 좋은 DI 프레임워크 이지만, 회사에서는 Dagger2를 사용해서 구현하고 있었다. Dagger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서 컴파일 타임에 DI 코드를 작성해주기 때문에, Koin보다 진입장벽이 높았다. 어노테이션만 보고 코드 흐름을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인데, 그래서 오늘은 가장 주요한 개념들 위주로 소개(라고 쓰고 정리)를 하려고 한다. 의존성 주입 (DI) 고오오대의 내 블로그 글 중에 Koin을 애찬하는 글이 하나 있는데, 그림으로 좀 더 쉽게 이해해보자. 의존성 주입이 없다면, Activity에서 원하는 객체(Ar..